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IP 주소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IPv6 == || 2001:4860:4860:0000:0000:0000:0000:8888[* Google Public DNS IPv6 주소] || [[128비트]]의 값을 가진다. IPv4에 비해 길이가 길다. 일반적으로 4자리의 16진수 수 8개로 표기하고, 각각은 [[쌍점]](:)으로 구분한다. IPv6은 IPv4 주소의 고갈을 앞두고 차기 주소 체계로서 고안되었으며, 조금씩 적용 사례가 늘고 있다. IPv4의 이론상 주소 수는 2^^32^^개[* 4,294,967,296개, 즉 42[[억(수)|억]] 9496[[10000|만]] 7296개]인 반면, IPv6의 최대 할당 IP 개수는 2^^128^^(약 3.4*10^^38^^)개[* 340,282,366,920,938,463,463,374,607,431,768,211,456개, 즉 340[[간(동음이의어)#s-2.3|간]] 2823[[구#s-2.2]] 6692[[양(수)|양]] 938[[자(수)|자]] 4634[[해(수)|해]] 6337[[경(수)|경]] 4607[[조(수)|조]] 4317[[억(수)|억]] 6821[[10000|만]] 1456개] 주소를 가질 수 있다. 통신이 가능한 기기마다 공인 IP를 하나씩 할당해도 고갈될 걱정이 없을 정도로 주소가 매우 넘쳐난다. 계산하기 쉽게 인류 인구가 100억 명이라고 가정해도 사람 1명 당 '''34해 2826경 6920조 938억 4634만 6337개'''의 통신기기를 써야 고갈 가능할 정도로 아득하게 많다. [[https://i.k-june.com/wp/68|#(IPV6주소 고갈시키기)]] 먼 미래에 태어날 인류까지 고려해서 100조 명이라고 잡아도 1명 당 34경이 넘는 통신기기를 써야 고갈 가능하다. 과거 인터넷이 보급될 당시부터 세계적으로 IPv4가 지속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IPv4 대비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, 장비 호환성 문제 등으로 IPv4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기에, 현재까지 많은 공공 Wi-Fi 등에서 IPv4를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. 다만 대기업 등 속도 및 효율적인 데이터를 중시하는 곳에서는 IPv6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. IPv6은 IPv4 대비 주소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, 기억하고 타이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. IPv4 주소는 자주 쓰는 것이라면 외울 수 있지만, IPv6 주소는 복붙하지 않고서는 입력하기 힘들다. 때문에 다음과 같이, 주소를 축약해서 쓸 수 있는 경우를 정해 놓고 있다. 1. 각 필드에서 앞자리에 오는 0은 생략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{{{fc00:cafe:beef:0001:0023:0456:789a:bcde}}}라는 주소가 있다고 하면,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다. || 원래 || {{{fc00}}} ||<width=1px> : || {{{cafe}}} ||<width=1px> :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'''{{{0001}}} 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23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456}}}''' ||<width=1px> : || {{{789a}}}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|| 축약 || {{{fc00}}} ||<width=1px> : || {{{cafe}}} ||<width=1px> :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'''{{{1}}} ''' ||<width=1px> : || '''{{{23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456}}}''' ||<width=1px> : || {{{789a}}}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2. 필드 전체가 0인 필드가 연속되어 나타나는 경우, 이를 통째로 생략하고 이를 {{{::}}}로 나타낼 수 있다. 예를 들어 {{{fc00:0000:0000:0000:beef:cafe:789a:bcde}}}라는 주소가 있다고 하면, 다음과 같이 축약할 수 있다. || 원래 || {{{fc00}}}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{{{cafe}}} ||<width=1px> : || {{{789a}}}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|| 축약 || {{{fc00}}} ||<-7> '''{{{::}}}'''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{{{cafe}}} ||<width=1px> : || {{{789a}}}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2-1. 다만, 필드 전체가 0인 필드가 연속되는 구간이 2개 이상 존재한다면, 이 중 하나만 생략할 수 있다. {{{fc00:0000:0000:0000:beef:0000:0000:bcde}}}라는 주소에 대해 잘못된 축약의 예와 올바른 축약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. || 원래 || {{{fc00}}}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000}}}'''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|| × || --{{{fc00}}}-- ||<-7> --'''{{{::}}}'''-- || --{{{beef}}}-- ||<-5> --'''{{{::}}}'''-- || --{{{bcde}}}-- || || ⚪︎ || {{{fc00}}} ||<-7> '''{{{::}}}''' || {{{beef}}} ||<width=1px> : || '''{{{0}}}''' ||<width=1px> : || '''{{{0}}}''' ||<width=1px> : || {{{bcde}}} || 왜냐하면 0이 흩어져 있다고 각각 따로 ::으로 생략해버리면 생략된 0이 어떤 필드에 들어가는지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.[* 예를 들어서 0이 흩어져 있다고 각각 따로 ::으로 생략해버리면 1111:0000:0000:2222:0000:0000:0000:3333도 1111::2222::3333으로 생략할 수 있고 1111:0000:0000:0000:2222:0000:0000:3333도 1111::2222::3333으로 생략할 수 있다. 이러면 1111::2222::3333만 봤을 때, 원본 주소가 1111:0000:0000:2222:0000:0000:0000:3333인지 1111:0000:0000:0000:2222:0000:0000:3333인지 특정할 수 없게 된다. 따라서 올바른 축약법은 1111:0000:0000:2222:0000:0000:0000:3333은 1111:0:0:2222::3333, 1111:0000:0000:0000:2222:0000:0000:3333은 1111::2222:0:0:3333이다.]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IPv6에서는 주소의 구분자로 콜론(:)을 사용하는데, [[URL]] 등의 URI에서는 콜론을 IP와 포트를 나타내는 구분자로 쓰고 있기 때문에 IPv6 주소를 쓸 때에는 대괄호(\[\])로 감싼다. 예를 들어, HTTP로 서버 주소 {{{fc00::1}}}의 8080번 포트에 접속하는 경우의 URL은 {{{http://[fc00::1]:8080/}}}이 된다. IPv6 주소 역시 사이더(CIDR) 블록을 이용할 수 있으나, 주소 길이가 길기 때문에 IPv4에서는 볼 수 없는 {{{/64}}} 등의 큰 수를 볼 수 있다. 예를 들어 IPv4에서 {{{192.168.0.1/32}}}는 {{{192.168.0.1}}}부터 {{{192.168.0.1}}}까지, 즉 1개의 IP 범위를 나타낸다. 하지만 IPv6 주소 {{{fc00::/32}}}는 {{{fc00:0000:0000:0000:0000:0000:0000:0000}}}부터 {{{fc00:0000:ffff:ffff:ffff:ffff:ffff:ffff}}}까지 무려 2^^^96^^^개의 IP 주소 범위를 나타낸다. IPv6에도 사설 IP 대역이 있다. IPv6의 사설 IP 대역은 [[CIDR|사이더]]를 사용하여 표기하면 fc00::/7이다. 정확히는 IPv6 로컬 유니캐스트를 위한 주소공간인데, IPv4의 사설 IP랑 같은 개념이다. 현재 사용중인 ISP가 IPv6 서비스에 대응되는지는 [[http://www.test-ipv6.com/|이 사이트]]에 접속해서 확인할 수 있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